송정 해수욕장 에 핀 흰 연꽃 '쿠무다'

by 불교연합회 posted Dec 08,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송정 해수욕장 에 핀 흰 연꽃 '쿠무다'
창건 5주년 맞은 부산 대운사와 주석스님
[0호] 2015년 12월 04일 (금) 18:06:23 박부영 기자 chisan@ibulgyo.com

해운대 달맞이 고개 넘어 송정은 젊은이들의 거리다. 넓은 모래사장과 푸른 동해바다를 바라보며 카페가 늘어서 있는 이 곳은 사시사철 관광객들이 끊이지 않는 명소다. 그 속에 특이한 이름의 간판이 눈길을 끈다. 'KUMUDA'(쿠무다), 흰 연꽃이라는 뜻의 산스크리트어다. 1층 문을 열고 들어가면 가운데 큰 나무를 중심으로 탁자를 나란히 배치하고 한 쪽 벽에는 책이 꽂혀 있는 최신 유행의 북카페다.

개원 5주년 기념 축하공연이 열린 1층 쿠무다

여기까지는 송정 해수욕장에 즐비한 카페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이 카페의 2층이 법당이라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법당의 정식 이름은 ‘대운사 부산불교학당’이다. 대운사는 경남 함양에 있는 절이다. 대운사는 함양 포교당인 셈이다. 2층만 떼어놓고 보면 역시 흔히 볼 수 있는 도심포교당이다.

이곳이 특별한 이유는 1층 카페와 2층 법당, 쿠무다와 대운사불교학당, 문화와 종교가 만났기 때문이다. 부산 불자들은 ‘쿠무다’는 알면서 대운사는 모른다거나 그 반대로 인식하기도 하는데 외지인들은 대운사는 아예 모르고 쿠무다가 귀에 익다. 둘은 다른 형태와 내용을 갖고 있으면서 하나를 지향한다. 이곳을 주목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범어사 주지 수불스님의 법문을 경청하는 주석스님

지난 4일 대운사불교학당이 창립 5주년을 맞아 기념법회와 축하공연을 열었다. 기념법회에는 범어사 주지 수불스님이 참석해 격려하고 법문했다. 범어사 국장스님들과 주지 주석스님이 활동하는 조계종부산연합회 실무자 스님들도 대거 참석해 축하했다. 주석 스님은 함양 대운사를 창건하고 범어사 말사로 등록햏다.

수불스님은 대운사와 쿠무다가 “열린 포교당, 주변 이웃과 함께하는 포교당, 지금 시대에 꼭 필요한 일”이라고 큰 기대를 표시했다. 인근 해운대의 대광명사 주지이며 조계종부산연합회 사무총장인 목종스님은 “대운사불교학당은 많은 불자들이 궁금해 하고 꼭 오고 싶어하는 곳이며 부산 가면 대운사에 들러 커피를 마시고 싶어하는 전국의 불자들이 많다”고 소개했다. 주지 주석스님은 “해운대에 기라성 같은 스님들이 많이 계셔서 작은 먼지 같은 존재가 대운사였는데 작지만 다른 방법으로 부처님 법을 전파하기 위해 현 시대에 걸 맞는 문화를 통한 포교를 꿈꾸고 2년 전 이곳으로 왔다”고 소개했다.

목종스님의 사회로 개원 5주년 법회가 열렸다

세 스님의 이야기 속에 대운사 불교학당과 쿠무다의 모습이 잘 드러나 있다. 2층 불교학당은 전형적인 포교당이다. 경전을 공부하고 강좌를 연다. 1층 쿠무다에서는 전시회 공연이 주로 열린다. 쿠무다는 문화 생산자와 소비자가 만나는 공간이다. 생산자들은 돈이나 명성이 덜해 공연장이나 전시장을 대여할 형편이 안되는 화가나 음악가들이다. 소비자들은 편하게 눈과 귀 마음을 쉬고 싶어하는 일반인들이다. 송정에는 문화를 갈망하는 중 노년층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쿠무다는 카페이면서 조용히 독서하는 도서관이며 때로는 갤러리가 되고 작가와 만나는 북 콘서트 장이 되기도 한다. 길가다 차 마시러 들어왔다가 관람객이 된다. 그 관람객은 다시 왔다가 법당으로 올라간다. 공연이 끝나고 전시회를 연 작가도 2층으로 간다. 법당부터 들렀던 신도는 친구를 불러 함께 차 마시고 음악 듣고 책 보다가 함께 법당으로 올라온다.

그래서 이곳은 결국은 ‘기승전 법당’이다. 주석스님이 이곳에 복합문화공간을 연 이유가 여기에 있다. 부산에 대운사와 쿠무다를 연 것은 함양의 대운사 때문이다. 절을 지었는데 사람이 오지 않았다. 사람들에게 부처님 법을 들려주고 행복하게 사는 법을 일러주고자 좋은 시설을 갖춘 건물을 지었는데 사람이 찾지 않는 것이다.

주석스님

스님은 “처음부터 포교 원력을 세운 것이 아니다. 1000평의 대지 위에 법당 극락전 요사채를 갖춘 훌륭한 사찰을 건립했는데 찾아오는 신도가 몇 명 되지 않아 너무나 아까워 어떻게 활용할 방법이 없을 까 고민을 하다 부산에 법당을 내었다”고 말했다. 스님은 “산중에 큰 법당을 잘 짓고 보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중들이 많이 올 수 있는 인연을 맺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3년 전 해운대 달맞이 고개에 180평 규모의 불교학당을 만들어 경전 강의를 했다. 이를 통해 대중과 친숙해진 뒤 2년 전 지금의 송정으로 온 것이다. 여전히 중심은 경전 공부이지만 커피 내리는 법이나 사찰음식 만들기 등 다양한 문화 학습도 이루어진다.

신도들

부산에서 태어난 스님은 초등학교 때 스님과 함께 칠보사 석주스님을 친견했는데 스님이 성을 물었다. 강씨라고 답하자 스님이 “나랑 성이 같네. 그럼 너는 주석(珠昔)이라고 해라”


Articles

3 4 5 6 7 8 9 10 11 12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